반응형
1. 개요
검색창에 www.google.com을 입력하면 구글 메인 화면에 접속하게 된다.
하지만 인터넷 주소는 이런 string타입이 아닌 IP주소(예 : 123.123.123.123)로 이루어져있다.
그렇다면 입력한 주소를 IP주소로 바꿔주는 무언가가 필요하다는것 알 수 있다.
그것이 바로 DNS이다.
이번에는 DNS와 작동 원리를 알아보자.
2. DNS란?
DNS(Domain Name System)는 도메인 이름을 IP주소로 변환하는 시스템이다.
사용자가 모든 사이트의 IP주소를 외우는것은 어렵고, 비효율적이기 때문에 이런 시스템이 고안되었고 이 덕분에 우리는 www.google.com과 같이 간편하게 이름만으로 웹 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다.
3. DNS의 작동 원리
DNS는 아래의 순서로 작동한다.
- 도메인 입력
사용자가 브라우저 주소창에 도메인을 입력한다. - 로컬 DNS서버 조회
사용자의 디바이스의 캐시에 입력한 도메인의 IP주소가 저장되어있는지 확인한다.
저장되어있다면 저장된 IP를 이용하고, 없다면 인터넷 제공업체의 로컬 DNS서버에 요청을 보낸다. - DNS조회
DNS는 아래의 순서로 IP주소를 요청한다.
* Root DNS 서버 : 인터넷 도메인 네임 시스템의 루트존.
* TLD DNS 서버 : Top Level Domain. 도메인 등록 기관이 관리하는 서버. .com, .org같은 도메인을 관리하고 부여.
* Authoritative DNS 서버 : 실제 도메인과 IP주소 관계가 기록되는 서버.
루트 DNS 서버에서 IP주소를 요청하고, 찾을 수 없다면 TLD DNS서버로 요청하는 식이다. - IP주소 반환 및 연결
IP주소가 디바이스로 반환되고 브라우저는 해당 IP주소로 연결을 시도한다.
반응형
'프론트엔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Frontend] Javascript없이 Drawer구현하기 (0) | 2025.02.17 |
---|---|
[React Native] numeric타입 키보드에서 onSubmitEditing함수가 동작하지 않음 (1) | 2025.01.15 |
[React] 드래그 앤 드랍 라이브러리(react-dropzone) (0) | 2024.11.26 |
[TIP] 더미 이미지 URL이 필요할 때 (0) | 2024.11.25 |
[Vercel] Vercel CLI로 프로젝트 배포하기 (0) | 2024.1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