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Web / App(React Native) Front-End Dev
· 로봇공학
1) 자유도 로봇의 위치나 자세를 정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변수 갯수(실수) 평면 위의 한 점을 생각해보자. 이 점의 위치는 x와 y의 값에 의해 결정된다. 즉, 평면위의 한 점은 자유도가 총 2이다(x, y). 이번엔 임의의 한 평면을 생각해보자. 이 평면은 x와 y의 좌표에 의해 위치가 결정되고 각도θ에 의해 모양이 결정된다. 즉 평면은 자유도가 3이다(x, y, θ).
· 로봇공학
1) 좌표변환 회전운동 2차원 좌표평면 위의 점p(x,y)가 있다. 이 점을 θ만큼 회전시켰을 때 p'의 좌표는 다음과 같다. $$x'= x cos\theta - y sin\theta$$ $$y'= x sin\theta + y cos\theta$$ 그리고 이 식은 행렬로도 나타낼 수 있다. $$\begin{bmatrix} x' \\ y' \end{bmatrix}= \begin{bmatrix} cos\theta & -sin\theta \\ sin\theta & cos\theta \end{bmatrix} \begin{bmatrix} x \\ y \end{bmatrix}$$ 여기서 $$\begin{bmatrix} cos\theta & -sin\theta \\ sin\theta & cos\theta \end{b..
· 로봇공학
1) 위치, 속도, 가속도 위치 로봇을 구성하는 부품의 각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선 기준이 필요하다. 우선 기준을 설정하고 기준으로부터 얼만큼 떨어져있는가를 위치라고 한다. 이는 좌표를 의미하는데 3차원 좌표계는 직각좌표계, 원통좌표계, 구좌표계 3가지가 있다. 이러한 좌표계는 이후 다룰 예정이다. 속도 물체가 Δt(s)동안 Δx[m]만큼 움직였을 때 평균속도는 다음과 같이 나타낸다. $$v=\frac{\Delta x} {\Delta t} [m/s]$$ 여기서 Δt를 한없이 작게 한다면 순간속도가 된다. $$v=\lim\limits_{\Delta t\to 0}\frac{\Delta x} {\Delta t}= \frac dx dt$$ 따라서 물체가 이동할 때 단위시간당의 변위를 속도라고 한다. 여기서 속도는..
· c++
c언어에선 메모리 동적 할당을 위해 malloc()과 free()함수를 사용했다. C++에선 new와 delete연산자를 이용한다. new와 delete연산자는 내부에서 malloc()과 frree()함수를 호출한다. 또한 연산자이기에 편의성이 높아졌다. #include using namespace std; int main() { // 인스턴스 동적생성 int *pData = new int; //인스턴스 동적생성 및 초기화 int *pNewData = new int(10); //인스턴스 여러개 동적 생성 int *arr = new int[5]; for (int i = 0; i < 5; i++) { arr[i] = (i + 1) * 10; } *pData = 5; cout